건강,의학관련

아프리카 여행 의료 정보-2021.08-해외여행 감염 예방 수칙, 예방 주사 등

새날의 2019. 12. 13. 18:33

[ 아프리카 여행 관련 의료 정보 ] 참고 link:  해외감염병예방수칙 | 해외여행건강정보 |

(첨부파일):프리카 여행 관련 의료 정보 ]로 Africa-medi-info-2021.08.04.hwp 임.

Africa-medi-info-2021.08.04.hwp
0.02MB

 

1.아프리카 방문 전 최소 10일전까지 황열 예방접종 필수!

2.말라리아 예방약(라리암) 복용 필수! (출발 전 1주부터 복용+귀국 후 4주 더 복용!)

  라리암은 부작용이 흔히 있다. 주로 메스꺼움, 구토가 흔하며, 드물게 경기 발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주의-정신 질환, 경기(경련) 환자, 심장질환자, 콩팥기능 이상이나 간기능 이상 환자는 주치의와 꼭 상담 요!

3.A형 간염 예방주사 - 필수는 아니지만 강력한 권고 사항.

4.파상풍 예방주사 - 대부분 어렸을 때 DPT 예방 주사 맞았을 것이므로 필수 사항은 아니며,

  최근 10년 이내 Tdap(파상풍,디프테아,백일해) 또는 DT(디프테리아,파상풍) 예방주사 맞은

  사람은 추가적인 파상풍 예방주사는 필요없음.

5.장티푸스 예방주사, 콜레라 예방 주사 - 권고 사항이긴 하나, 꼭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님.


▶아프리카 방문 전 예방접종 (글 게시일 이후 예방접종 가능 병원과 접종가격,전화번호는 변경될 수도 있음.)

구분 황열(Yellow fever)
필수!
말라리아
필수!
A형간염
강력 권고
파상풍
권고
장티푸스
권고
내용 바이러스에 의한 출혈열로
모기에 의해 전파
얼룩날개 모기류(Anopheles species)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서 전파 개인위생 관리가 좋지 못한
저개발 국가에서 많이 발생.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대변이나 타액(침)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해서 감염.
- 경구(입)를 통한 감염-
흙, 먼지, 동물의 대변 에 포함된 파상풍의 포자(알)가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감염.
보균자가 부주의하게 다룬 우유나 유제품도 감염의 원인
증상 잠복기, 급성기, 독성기
3~6일 정도의 잠복기가 지나면 급성기가 나타남.
->고열, 두통, 구토, 복통, 근육통
오한기-발열기-발한기
->발열, 빈혈, 두통, 혈소판 감소
30일 정도의 잠복기.
피로감,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발열, 우측 상복부 통증, 황달 증상
잠복기 : 1일~수개월
(평균3일~21일)
입 주위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입을 벌리지 못하며 호흡곤란
3일~60일(1주~3주)
발열, 오한, 두통, 식욕감퇴, 구토
접종
복용시
최소 10일전 여행 1~2주 전에 복용
일주일에 한 알씩 지정 요일 복용
돌아와서 4주간 더 먹음.
(단기면 하루 한 알 ,
1알 약값 3,500원)
2주 전 항체형성기간이 10~14일
최소 2주전
최소 2주전
(한 달이면 더 좋음)
접종처 국립중앙의료원 (02) 2260-7114
국립인천공항검역소 (032) 740-2700
국립통영검역소 (055) 681-2418
국립부산검역소 (051) 462-3505
국립울산검역소 (052) 261-8169
국립인천검역소 (032) 883-7503
국립포항검역소 (054) 246-8545
국립군산검역소 (063) 445-4239
국립동해검역소 (033) 535-6023
국립목포검역소 (061) 244-0941
국립제주검역소 (064) 728-5500
국립여수검역소 (061) 665-2367
국립중앙의료원 (02) 2262-4833
국립마산검역소 (055) 246-2443
충남대학교병원 (042) 280-7114
국립김해검역소 (051) 973-6525
국립중앙의료원 02-2260-7114
아산병원 1688-7575
강북삼성병원 02-739-3211
삼성의료원 02-3410-3114
백병원 02-2270-052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1588-3369
일산병원 1577-0013
건양대학교병원 1577-3330
을지대학병원 042-611-3097
충남대학교병원 042-280-7114
경북대학병원 053-420-5540
전남대학병원 062-220-5114
울산대부속병원 051-894-3421
부산대학교병원 051-240-7300
부산백병원 051-894-3421
동아대학교병원 051-240-2400
국립중앙의료원 (T.02-2260-7114)
또는 link
www.nmc.or.kr/

참고
(다수 의료기관에서 가능)
국립중앙의료원 (T.02-2260-7114)
또는
link
www.nmc.or.kr/



참고

(다수 의료기관에서 가능)
보건소
비용 32,000 내외 1주 1알 : 3만원 내외

1차: 7만원 내외(여행 전)
2차: 1차 접종 후 6개월 뒤)
DT 3만원 내외
Tdap 5만원 내외

4000 내외
주의사항
&
예방

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는 경우
1)60세 이상의 노인들은 접종 후 전신이상반응에 따른 위험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의 후 접종.
2)계란이나 젤라틴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은 백신 사용이 금기.
3)HIV 감염자, 악성종양자, 흉선질환자 또는 기타 면역저하질환을 가진 자들은 백신 사용이 금기. 그러나 금기사항이 없는 면역저하질환자나 HIV환자의 가족들은 예방접종을 받아야 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1)야간활동을 가능 한 자제
2)긴 소매 옷 착용
3)취침 시 모기향과 모기장을 사용
4)노출된 피부에 곤충기피제 (DEET 함유제품)를 바름.
1)A형 간염 바이러스는 85도 이상에서 1분만 가열해도 사라짐-> 끓인 물을 마시거나 충분한 익힌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예방 가능
2)화장실을 사용한 후와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 세척.
상처 부위 소독
->괴사 조직을 제거
1)여행지역에서는 반드시 물을 끓여 먹고 음식물의 위생 관리 철저!
2)보균자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세균이 몸속에서 모두 제거되었음이 확인되기 전까지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 간호하는 업무 등에 종사하는 것을 금해야 함.

기타 증명서발급 ->소지하고 다녀야 함
예약->월~금 10:00~16:00,
(02) 2262-4833
구비서류->여권(사본가능),
복용약 리스트, 여행일정표
좌동 좌동 좌동 신분증

 

아프리카 지역은 황열 예방 주사를 맞아야 하므로 적어도 출발 10일전까지 황열 예방주사를 맞도록 안내하고, 황열 접종 증명서(황색 card)는 항상 갖고 다녀야 한다.

말라리아 예방약(라리암)을 출발 7일전부터 복용(매주 1알 씩) 하도록 다시 알려 준다.

라리암은 귀국 후 4주 더 복용해야 한다.

 

팀닥터로서의 의료 활동은 현지에서 주의할 의료 보건 지식과 행동에 대한 교육과 몸이 불편한 대원을 돌보는 일이었다. 의료 보건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 항공병 예방 및 치료법(코를 막고 볼을 불룩하게 해 본다. 껌을 씹는다.)

날 음식과 아무 물이나 먹지 않는다. 모기 물리지 않도록 강조!

벌레, 동물. 식물을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 - 알레르기 쇼크 반응, 독침 주의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 과격한 장난 금지!

고산병 예방법: slowly & steady, 호흡은 천천히. 몸을 극한 상황으로 몰지 말 것!

 

-요약-

아프리카 지역은 황열 예방 주사를 맞아야 하므로 적어도 출발 10일전까지 황열 예방주사를 맞도록 안내하고, 황열 접종 증명서(황색 card)는 항상 갖고 다녀야 한다.

말라리아 예방약(라리암)을 출발 7일전부터 복용(매주 1알 씩) 한다.

라리암은 귀국 후 4주 더 복용해야 한다.

 

-끝-